TCP 프레임

TCP 프레임이란 TCP를 통해 전문을 주고 받을 때, 전문 단위를 구분하는 용어로, AP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는 송수신 전문은 하나의 프레임에 담긴다.

프레임구분 방식은 전문길이, 딜리미터, 사용자코덱 등으로 구분된다.

1. 전문길이

전문길이 방식은 길이필드로 프레임을 구분하는 방식이며, 공통정보, Read정보, Write정보로 구분된다. 길이필드란 전문의 길이정보를 가지고 있는 필드를 의미한다. 공통정보는 길이필드에 대한 속성 정의이고, Read정보는 전문을 읽을 때 사용하며, Write정보는 전문을 쓸 때 사용한다.

각 구성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1. 공통정보

4 38
  • 길이필드길이: 길이필드 항목의 길이를 설정한다.

  • 길이필드시작위치: 길이필드가 시작되는 offset값을 설정한다.

  • 길이필드캐릭터타입: 길이필드가 사용할 캐릭터셋 타입을 선택한다. 캐릭터타입은 ASCII, EBCDIC, CHARSET, BINARY 등으로 구분되며, Default 캐릭터타입은 CHARSET이다. CHARSET 선택시 기관/시스템별업무설정의 전문캐릭터셋이 적용된다.

  • 길이필드포함여부: 헤더길이의 포함여부를 설정한다. 포함일때는 전체전문길이, 미포함일때는 헤더길이를 제외한 값을 의미한다. 위의 그림의 “예시1)” 길이값은 100이고, “예시2)” 길이값은 92이다.

1.2. READ 정보

4 39
  • 길이필드조정값: 전문에 있는 전문길이 값을 조정하는 데 사용한다.

  • 전문스킵길이: 전문의 불필요한 필드를 스킵하고 전달하고 싶을 때 해당 Offset 정보를 설정한다

1.3. WRITE 정보

4 40
  • 길이필드생성여부: 길이필드 생성 여부를 선택한다. 생성일 경우에는 전문 앞에 길이필드를 생성한다. 위의 그림의 예와 같이 길이값은 길이필드길이, 길이필드포함여부 등의 필드 속성에 따라 계산되어 생성된다.

2. 딜리미터

딜리미터 방식은 구분자로 프레임을 구분하는 방식이며, 구분자는 LF, CR+LF, Stx-Etx, 사용자정의로 구분된다.

각 구성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2.1. 딜리미터구분

  • LF: 라인피드로 프레임을 구분한다.

  • CR+LF: 캐리지리턴+라인피드로 프레임을 구분한다.

  • Stx-Etx: 전문의 시작점은 Stx로 구분하고, 종료점은 Etx로 구분한다.

  • 사용자정의: 위에 구분자 이외 사용자정의 구분자로 프레임을 구분한다.

2.2. 딜리미터

딜리미터구분이 사용자정의 일때 딜리미터 값을 입력한다.

3. 사용자코덱

사용자코덱 방식은 사용자 코덱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프레임을 구분하는 방식이다. 사용자코덱 프로그램은 사전에 프로그램정보 화면을 통해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코덱 프로그램 개발 방법은 코덱/핸들러 프로그램을 참조한다.

SWLab Bankware Global
  • 전체
  • BXM
  • BXCM
  • BXCP
  • BXI
제품 선택 시 더 정확한 매뉴얼 가이드를 제공해드립니다.

Copyright© Bankwaregloba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