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링

1. 로그모니터링

1.1. 에러 로그

인터페이스 처리 중 발생한 에러에 대한 로그이다.

해당화면에서 인터페이스에서 발생한 에러의 상세원인을 확인할 수 있고, 상세보기 버튼을 누르면 커넥션 필드에 값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커넥션 처리상태, 값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온라인로그상세로 이동하여 에러가 발생한 시점의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에러 로그는 인터페이스의 에러 및 BXI에서 발생하는 기동/종료, 커넥션 오류 등도 함께 로깅되므로, 관리자는 인터페이스 및 BXI의 중요 로그를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1.2. 거래내역조회

인터페이스 처리내역 및 인터페이스 처리상태(처리결과)를 제공한다.

인터페이스 ID별로 발생한 거래의 처리일자, 처리시간, 응답시간, 처리상태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처리상태에 따라 인터페이스 전문을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로그상세 또는 에러로그로 이동할 수 있다.

1.3. 온라인로그상세

인터페이스 처리시 발생한 상세로그를 제공한다.

상세로그는 Gateway 컴포넌트에서 기록한 송수신 전문에 대한 로그와,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요청/응답 플로우가 호출하는 Router(라우터)의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1. 원하는 구간의 로그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Router는 Off하고, Gateway의 로그를 On하면 송수신 전문로그만을 필터링하여 확인할 수 있다.

  2. 조회된 로그 목록에서 확인이 필요한 구간의 로그를 선택해 공통부, 개별부의 전문로그 및 상세한 처리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명 필드에 값이 존재하는 로그의 경우, 공통정보부와 개별정보부 필드 옆에 나타나는 상세 아이콘을 클릭하여 로그를 필드 단위로 확인할 수 있다.

1.4. 배치내역조회(EAI)

배치인터페이스의 처리내역 및 처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2. 상태모니터링

2.1. 노드처리상태

노드에서 실행 중인 인스턴스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화면으로, 각 인스턴스별로 세션정보, 처리정보, 그리고 인스턴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을 경우 확인할 수 있는 에러정보등을 확인할 수 있다.

2.2. 기관별큐처리상태(FEP)

기관별 큐의 처리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화면이다.

해당 큐를 처리하고 있는 인스턴스ID와 큐대기건수, 쓰레드수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큐 삭제 클릭 시, 기관별 업무 큐에 대기 중인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2.3. 커넥션처리상태

등록된 커넥션 정보를 이용하여 연결상태 및 연결된 세션 수를 모니터링하는 화면이다. 그리드 우측의 상세, 이력 버튼을 통해 세부적인 사항들을 알아볼 수 있다.

  • 상세: 해당 커넥션의 이름, 프로토콜, IP등의 기본정보와 연결상태 및 세션수, 송수신 건수 등의 처리상태를 제공한다.

  • 이력: 해당 커넥션의 접속 및 종료에 대한 이력정보를 제공한다. 접속된 커넥션의 경우 추적기능을 통해 커넥션에서 발생한 이벤트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커넥션 이벤트 추적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추적: 그리드의 추적 버튼을 클릭하면 화면 하단에 이벤트추적로그에 해당 커넥션의 이벤트가 기록된다. 발생되는 이벤트 종류는 아래와 같다.

    • REGISTERED: 커넥션을 이벤트루프에 등록

    • UNREGISTERED: 커넥션을 이벤트루프에서 해제

    • ACTIVE: 이벤트루프에 등록된 이후에 네티 API를 사용하여 채널 입출력을 수행할 상태

    • INACTIVE: 활성 상태에서 벗어나 연결이 해제

    • RECEIVED: 커넥션에서 데이터를 받는 중

    • RECEIVED COMPLETE: 데이터 수신 완료

    • WRITE: 커넥션에서 데이터를 보내는 중

    • FLUSH: 데이터 송신 완료

    • BIND: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대기하는 IP와 포트가 설정되었을 때

    • CONNECT: 연결 요청 시 호출됨

    • DISCONNECT: 연결 해제 요청 시 호출됨

    • CLOSE: 닫는 요청 시 호출됨

이벤트 추적이 완료되면, 추적종료 버튼을 클릭하여 로그 기록을 중지한다.

2.4. 파일에이전트상태(EAI)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에이전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2.5. DB에이전트상태(EAI)

데이터소스 프록시를 위한 DB에이전트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2.6. 일괄전송처리상태(FEP)

일괄전송처리상태는 일괄전송 파일의 파일처리상태, 송수신상태, 진행률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세보기 버튼을 통해 일괄전송처리상세 화면에서 블록번호, 일련번호 등의 정보와 실제 데이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7. 배치처리상태

배치인터페이스의 실행내역 및 처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에러발생시 에러정보와 에러내용을 통해 에러발생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각각의 배치인터페이스를 선택해 처리시각 및 처리건수, 처리상태 등 주요 정보를 확인 할 수 있고, 에러상태일 경우 에러 원인 파악을 위한 에러정보가 표현된다.

2.8. 스케줄처리상태

스케줄된 인터페이스의 실행여부 및 작업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2.9. 인스턴스상태

BXI의 실행된 인스턴스의 시스템 정보인 CPU, Memory 등을 모니터링하는 화면이다.

CPU사용률, HEAP정보, Non-HEAP정보, 기타정보를 제공한다. 우측 상단의 실시간 버튼을 통해 현재 기동중인 인스턴스의 CPU사용률이나 Heap사이즈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시스템 파라미터의 MONITORING_YN를 통해 인스턴스 모니터링 여부를 변경할 수 있다.

3. 통계

3.1. 처리현황

기관, 시스템, 업무 등을 기준으로 처리한 인터페이스의 통계정보를 보여준다.

3.2. 도메인처리현황

도메인을 기준으로 RESTful 방식 인터페이스의 통계를 보여준다.

3.3. API처리현황

API정보의 HTTP 메소드를 기준으로 RESTful 방식 인터페이스의 통계를 보여준다.

3.4. TOP-N

처리건수, 에러건수 및 평균응답시간을 기반으로 한 기간별 RESTful 방식 인터페이스의 통계를 보여준다.

SWLab Bankware Global
  • 전체
  • BXM
  • BXCM
  • BXCP
  • BXI
제품 선택 시 더 정확한 매뉴얼 가이드를 제공해드립니다.

제품

Copyright© Bankwareglobal All Rights Reserved.